CMD창에
telnet ip주소 port ( telnet 10.10.10.10 8080) 을 치면 cmd창이 깜박이는 커서가 나온다.
OPTIONS / HTTP/1.0
엔터 2번
을 입력하면 허용되어 있는 METHOD 리스트가 나옵니다.
Apache 에서 차단 httpd.conf 에서
TraceEnable off 로 설정
<Directory />
<LimitExcept GET POST>
Order allow, deny
Deny from all
</LimitExcept>
</Directory>
or
<Directory />
<Limit GET POST>
Order deny, allow
Allow from all
</Limit>
</Directory>
Tomcat, WEBLOGIC등
메소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./tomcat/conf/web.xml ./WEB-INF/web.xml 에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.
<security-constraint>
<display-name>Forbidden</display-name>
<web-resource-collection>
<web-resource-name>Forbidden</web-resource-name>
<url-pattern>/*</url-pattern>
<http-method>PUT</http-method>
<http-method>HEAD</http-method>
<http-method>DELETE</http-method>
<http-method>TRACE</http-method>
<http-method>OPTIONS</http-method>
</web-resource-collection>
<auth-constraint />
</security-constraint>
OPTIONS / HTTP/1.0
실행하면
HTTP/1.1 403 Forbidden 이뜬다. 혹은 에러페이지 뜸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145 | 아파치 톰캣 AJP 프로토콜에 '고스트캣(GhostCat)' 취약점 | 2020.04.06 | 562 |
144 | top을 통해 살펴보는 프로세스 정보들 | 2020.03.04 | 181 |
143 | netstat | 2020.02.05 | 202 |
142 | Linux Cache Memory Clear | 2020.01.20 | 266 |
141 | ThreadDump 분석 | 2020.01.02 | 153 |
140 | Apache나, Tomcat 버젼 노출 취약점 | 2019.12.09 | 845 |
139 | NetBackup Port Open | 2019.11.21 | 647 |
138 | CSQL 인터프리터 사용방법 | 2019.11.04 | 321 |
137 | 서버 취약점 점검 | 2019.10.30 | 926 |
136 | OSI 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모델의 7개 계층구조 | 2019.09.10 | 246 |
135 | IPsec 동작모드 | 2019.09.06 | 217 |
» | 불필요한 HTTP Method 차단 | 2019.04.01 | 1121 |
133 | 정보보안 국가기술자격검정 최종합격자 현황 [1] | 2019.03.26 | 173 |
132 |
정보보안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 개정 안내
![]() | 2019.03.26 | 150 |
131 | Restore Database And Rename Database Files Example | 2019.03.25 | 268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