진주성 블로그 방문하기
진주성 블로그 방문하기
하이브 파일 종류
HKEY_CLASSES_ROOT(HKCR) : 파일연결, OLE 객체 클래스 ID와 같은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 HKEY_CURRENT_USER(HKCU) :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설정 HKEY_LOCAL_MACHINE(HKLM) :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의 설정 HKEY_USERS(HKLM) : 컴퓨터에서 사용 중인 각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HKEY_CURRENT_USER 키에 일치하는 서브키 정보 HKEY_CURRENT_CONFIG : 실행 시간에 수집한 자료를 담고 있다. 이 키에 저장된 정보는 디스크에 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시동 기간에 생성 HKEY_PERFORMANCE_DATA : 런타임 성능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. 보이지 않지만 윈도의 API 의 레지스트리 명령어를 통해 볼수 있음 HKEY_DYN_DATA : 이 키는 윈도 95, 98, me 에만 쓰밈
- 중요 레지스트리 키 값
ShutdownWithoutLogon : 로그온 할 경우 시스템 종료 옵션을 제거 AutoshareServer : 공유 폴더를 막음 AotoShareWks : 값이 0 이면 기본 공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고 1이면 기본 공유가 존재함 SecurePipeServers : 레지스트리에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 방지 RestrictAnonymous : 익명 네트워크 액세스 제한 값이 2이면 Null Session 차단
- DDoS 레지스트리 값 설명
SynAttackProtect TcpMaxHalpOpen TcpMaxHalfOpenRetried EnablePMTUDiscovery NoNameReleaseOnDemand EnableDeadGWDetect KeepAliveTime PerformRouterDiscovery EnableICMPRedirects
- 아티팩티 분석(Artifact Analysis)
웹 브라우저 캐시 :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텍스트파일, 아이콘 등 히스토리 분석 : 웹 사이트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월별, 일병 방문 기록을 가지고 있다 쿠키정보 : 호스트 정보, 경로, 수정시간, 만료시간 등 windows XP, 7 : index.dat windows 10(IE10) : WebCacheV01.dat, WebCacheV24.dat
- MFT(master file table)
$MFT : 프로세서 정보, 실행, 다운로드, 생성날짜 $LogFile : 부팅이후 실행된 프로세서 $UsrJunl : 사용자 프로세서 실행정보
- 이벤트 로그 (ID) : 로그인, 로그아웃 번호
응용, 보안, 시스템 buffer 단위 기록 \Windows\System32\config SYSTEM, SECURITY, SOFTWARE *.EVT
- Archive bit
attrib [+|-][A|H|S|R] attrib +H file.name
숨김파일 pagefile.sys 보기
dir /ah, attrib (아카이브비트) , ADS
DIR [드라이브:][경로][파일 이름] [/A[[:]특성]] [/B] [/C] [/D] [/L] [/N] [/O[[:]정렬 순서]] [/P] [/Q] [/R] [/S] [/T[[:]시간 필드]] [/W] [/X] [/4] [드라이브:][경로][파일 이름] 나타낼 드라이브, 디렉터리 및/또는 파일을 지정합니다. /A 지정된 특성을 가진 파일을 보여 줍니다. 특성 D 디렉터리 R 읽기 전용 파일 H 숨김 파일 A 기록 파일 S 시스템 파일 I 콘텐츠가 인덱싱되지 않은 파일 L 재분석 지점 - 부정을 뜻하는 접두사 /B 최소 형식을 사용합니다(머리말 정보나 요약 없음). /C 파일 크기에 1000단위로 분리 기호를 보여 줍니다. 이것은 기본값 입니다. 분리 기호를 표시하지 않으려면 /-C를 사용하십시오. /D /W와 같으나 세로로 배열하여 보여 줍니다. /L 소문자를 사용합니다. /N 파일 이름이 제일 오른쪽에 오도록 새로운 긴 목록 형식을 사용합니다 /O 파일을 정렬된 순서로 보여 줍니다. 정렬 순서 N 이름순(문자 순서) S 크기순(작은 것 먼저) E 확장명순(문자 순서) D 날짜/시간순(가장 이전 것 먼저) G 그룹 디렉터리 먼저 - 순서를 반대로 하는 접두사 /P 정보가 한 화면에 꽉 차면 잠깐 멈춥니다. /Q 파일 소유자를 보여 줍니다. /R 파일의 대체 데이터 스트림을 표시합니다. /S 지정한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보여 줍니다. /T 정렬에 사용할 시간 필드를 지정합니다. 시간 필드 C 작성한 시간 A 마지막 액세스한 시간 W 마지막 기록한 시간 /W 이름만 가로로 배열하여 보여 줍니다. /X 8.3 파일 이름이 아닌 파일에 대한 짧은 이름을 보여 줍니다. 이 형식은 긴 이름 앞에 짧은 이름이 추가된 것으로 /N 형식과 같습니다. 짧은 이름이 없으면 공백을 보여 줍니다. /4 4자릿수 연도를 표시합니다.
ATTRIB [+R | -R] [+A | -A ] [+S | -S] [+H | -H] [+I | -I] [드라이브:][경로][파일 이름] [/S [/D] [/L]] + 특성을 설정합니다. - 특성을 지웁니다. R 읽기 전용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. A 보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. S 시스템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. H 숨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. I 콘텐츠가 인덱싱되지 않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. [드라이브:][경로][파일 이름] ATTRIB 명령을 수행할 파일을 지정합니다. /S 현재 폴더와 모든 하위 폴더에서 일치하는 파일을 처리합니다. /D 폴더를 처리합니다. /L 기호화된 링크의 대상과 기호화된 링크의 특성에 대해 작업합니다.
C:\Windows\Prefetch 윈도우에서 자주사용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쉽고 빠르게 올릴수 있게 이미지를 미리 만듬 *.pf 파일 을 생성, 삭제가능
svchost.exe 서비스 은닉시 사용되는 이름
click jacking
droper
watering hole : 웹사이트 취약점 이용 공격, 링크를 다른 공격사이트로 연결
microsoft-DS : 445 port
피싱 : 가짜 사이트로인한 정보 탈취
파밍 : DNS 변조, hosts, hosts.ics, DNS
스미싱 :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등 소액결제 유도
whistl / castle
스피어피싱 : 타겟
dllinjection, codeinjection, API Hooking
explore 밑으로 사용자 프로세서 실행 ex( iexplore -- 악성코드 )
ADS ( Alternative Data Stream ) -- Win XP - Mac 용 파일시스템등의 변환용 숨은 공간, 실행도 됨
아티팩트분석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파일 정보 : IE -> index.dat (url ,쿠키, 케쉬, 다운정보) 이파일이 다른파일을 만들어냄 IE -> master file table ( 모든파일 생성정보 ) index.dat $MFT $LogFile (모든 로그파일) $UsrJrna (모든 생성정보)
regedit run onece, service onece
offset
슈퍼블럭 아이노드 : 링크정보 데이타블럭
DNS ipconfig /displaydns - DNS케쉬테이블 --> /windows/system32/driver/etc/hosts.ics --> hosts --> DNS 서버 질의 (쿼리) --> DNS 서버의 캐쉬 --> DNS 제귀쿼리
DNSSEC - 인터넷진흥원 사이트 참조
DNSspoof 무조건 라우팅 fragroute -B1
-
- Command **
net user Guest /active:no
-
- netsh **
netsh interface ip show config
- 고정IP로 설정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"Local Area Connection" static 아이피 마스크 게이트웨이
- DHCP 설정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"Local Area Connection" dhcp
- 1차 DNS 설정 netsh interface ip set dns “Local Area Connection” 아이피 primary - 2차 DNS 설정 netsh interface ip set dns “Local Area Connection” 아이피
netsh wlan show profile netsh wlan delete profile name= "<지울 프로필 이름>" netsh wlan show drivers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=allow ssid="aaaa" key="aaaa"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81 | OSI 7 Layer | 2017.11.01 | 363 |
80 | TCP 프로토콜 Header 구조 | 2017.11.01 | 1710 |
79 | TCP 상태전이 | 2017.11.01 | 762 |
78 | 전자우편 보안 | 2017.11.01 | 388 |
77 | 부팅(Booting) 과정 | 2017.11.01 | 421 |
76 | 디지털 컨텐츠 보호 | 2017.11.01 | 264 |
» | 윈도우 보안 | 2017.11.01 | 279 |
74 | 보안솔류션 | 2017.11.01 | 307 |
73 | AD(Active Directory) | 2017.11.01 | 18725 |
72 |
DNS (Domain Name Service)
![]() | 2017.11.01 | 249 |
71 | 포트스켄 | 2017.11.01 | 237 |
70 | SSL, IPSEC | 2017.11.01 | 195 |
69 |
보안관제
![]() | 2017.11.01 | 4850 |
68 | VPN | 2017.11.01 | 5255 |
67 | 개인정보 | 2017.11.01 | 20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