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 국제공통 평가 기준 표준 (CC:Common Criteria)
2017.11.09 08:49
1. 국제 공통 평가 기준 표준 (CC:Common Criteria)의 개요
가. CC(Common Criteria)의 개념
- 정보보호시스템 공통평가기준(Common Criteria)은 국가마다 서로 다른 정보보호시스템
평가기준을 연동하고 평가결과를 상호 인증하기 위해 제정된 평가기준
- 국제표준 (ISO/IEC 15408)으로 지난 1999년 6월 승인됨
나.CC(Common Criteria)의 목적
- 정보보호 시스템의 보안등급 평가에 신뢰성 부여
- 현존하는 평가기준과 조화를 통해 평가결과의 상호인정(CCRA:CC 상호인정협정)
- 정보보호 시스템의 수출입에 소요되는 인증비용절감으로 국제유통 촉진
다. CC(Common Criteria)의 발전과정
라. CC(Common Criteria)의 요구사항과 보호프로파일, 보안목표명세서와의 관계도
마.보호프로파일(PP)와 보안목표명세서(ST)의 비교
구분 |
보호프로파일(Protection Profile) |
보안목표명세서(Security Target) |
개념 |
동일한 제품이나 시스템에 적용할 수있는 일반적인 보안기능요구사항 및 보증요구사항 정의 |
특정 제품이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보안기능 요구사항 및 보증요구사항 정의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는 보안기능 및 수단을 정의 |
독립성 |
구현에 독립적 |
구현에 종속적 |
적용성 |
제품군(예:생체인식시스템) 여러제품/시스템에 동일한 PP를 수용가능 |
특정제품(예: A 사의 지문감식시스템) 하나의 제품/시스템에 하나의 ST를 수용해야함 |
관계성 |
PP는 ST를 수용할 수 없음 |
ST는 PP를 수용할 수 있음 |
완전성 |
불완전한 오퍼레이션 가능 |
모든 오퍼레이션은 완전해야 함 |
바.정보보호시스템 공통평가기준(CC:Common Criteria)의 특징 및 TCSEC과의 비교
(1). CC(Common Criteria)의 특징
구분 |
주요특징 |
평가 |
보안기능과 보호기능으로 나누어 평가 |
보안등급체계 |
EAL0 ~ EAL7 (EAL: Evaluation Assurance Level, 평가 보증 등급) |
관련작성문서 |
PP(Protection Profile), ST(Security Target) |
평가수행지침 |
CEM(Common Evalution Methodlogy) |
인증서 효력 |
CCRA(Common Criteria Recognization Arrangment) 에 가입 되어야 |
(2). TCSEC(Trusted Computer System Evalution Criteria) 와의 비교
구분 |
CC(Common Criteria) |
TCSEC |
침입차단시스템평가기준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제 |
표준화 |
국제표준기관(ISO/IEC15408) |
미국표준제정기관(NCSC) |
한국정보보호센터(KISA) |
적용범위 |
세계공통의 보안표준 |
미국내 보안표준 |
국내 |
등급 |
EAL7~ EAL1, EAL0(부적절) |
A,B,C의 6등급, D(부적합) |
K7(E)~K1(E), K0(요구사항 |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45 | BroadCast 주소 | 2018.04.03 | 610 |
44 | Cain & Abel is a password recovery tool | 2018.03.12 | 8267 |
43 | ISAC (정보공유분석센터) | 2018.02.03 | 322 |
42 | 개인정보 피해방지 10계명 | 2017.12.29 | 317 |
41 | 포렌식 복사 도구 – forecopy_handy | 2017.11.11 | 787 |
40 | 개인정보 보호법 | 2017.11.09 | 189 |
39 | 전자서명법 - 공인인증서 | 2017.11.09 | 249 |
» | 국제공통 평가 기준 표준 (CC:Common Criteria) | 2017.11.09 | 377 |
37 | 정보통신망법 | 2017.11.09 | 201 |
36 | IoT 보안 | 2017.11.08 | 193 |
35 | 접근통제 참조모델 | 2017.11.07 | 326 |
34 | 쉘쇼크(Shellshock) | 2017.11.07 | 244 |
33 | 악성코드의 종류 | 2017.11.07 | 652 |
32 | 디지털 포렌직 조사의 일반원칙 | 2017.11.07 | 231 |
31 | ftp 보안 취약점및 대책 | 2017.11.05 | 624 |
30 | Dos 공격유형 및 차단 | 2017.11.03 | 796 |
29 | ICMP | 2017.11.01 | 1262 |
28 |
아파치 웹서버 보안설정
![]() | 2017.11.01 | 3557 |
27 | HTTP Header | 2017.11.01 | 245 |
26 | IPv4, IPv6 | 2017.11.01 | 26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