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 ftp 보안 취약점및 대책
2017.11.05 07:56
ftp 보안 취약점
Bounce Attack : 익명 FTP 서버를 사용해 그 FTP 서버를 경유해서 호스트를 스캔 네트워그 포트 스캐닝을 위해서 사용
FTP 바운스 공격을 통해서 전자 메일을 보내는 공격을 Fake Mail 이라고 한다
tFtp Attack : 인증 절차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설정이 잘 못되어 있으면 누구가 해당 호스트에 접근하여 파일 다운로드 할수 있다
FTP 보다 간다, UDP 69 포트
Anonymous FTP Attack : 보안 절차를 거치지 않은 익명의 사용자에게 FTP 서버로 접근 허용한다.
익명 사용자가 서버에 쓰기 권한이 있을 때 악성코드 생성이 가능하다
FTP 서버 취약점 : wuftp 포맷 스트링 취약점 및 각 종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이 가능
스니핑 : ID, Password 입력후 접속 시도 시에 암호화가 이루어 지지않아 패스워드 노출됨
Brute Froce Attack : 무작위 대입법 사용
FTP 보안대책
패시브모드로 운영
/etc/ftpusers - 접근제한 ID
/etc/hosts.deny - 접근거부 IP
/etc/hosts.allow - 접근 허용 IP
웬만하면 사용하지 말자 - sftp 사용
/etc/passwd 파일에 anonymous , ftp 삭제 또는 로그인쉘 /bin/false| /sbin/nologin 로 변경
tftp secu mode 로 운영
xferlog 내용 ( -l 옵션을 줘야 로그 생김 )
c - 성공
i - 파일업로드
o - 파일다운로드
접속 서버 IP, 시간, 날짜
파일명, 접속계정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25 |
보안관제
![]() | 2017.11.01 | 4850 |
24 | VPN | 2017.11.01 | 5255 |
23 | 개인정보 | 2017.11.01 | 200 |
22 | 암호학 | 2017.11.01 | 900 |
21 | BCP | 2017.11.01 | 675 |
20 | WLAN, VLAN | 2017.11.01 | 283 |
19 | ISMS - 정보보호관리체계 | 2017.11.01 | 258 |
18 | 위험관리 | 2017.11.01 | 293 |
17 | 법규 - 추가작성 | 2017.11.01 | 284 |
16 |
개발보안
![]() | 2017.11.01 | 668 |
15 |
시스템보안
![]() | 2017.11.01 | 1413 |
14 |
블록체인
![]() | 2017.10.31 | 283 |
13 |
route access-list
![]() | 2017.10.30 | 656 |
12 |
전자서명의 원리
![]() | 2017.10.30 | 291 |
11 |
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절차
![]() | 2017.10.29 | 369 |
10 |
스니핑용 promisc 모드
![]() | 2017.10.29 | 426 |
9 |
DDoS 공격도구
![]() | 2017.10.18 | 383 |
8 |
UDP 플러드 공격 - NTP, DNS, SSDP Amplification DDoS Attack
![]() | 2017.10.18 | 1455 |
7 |
Smurf Attack / Land Attack / Ping of Death
![]() | 2017.10.17 | 1585 |
6 |
Tear Drop / Tiny Fragment / Fragment Overlap(고전적인방법)
![]() | 2017.10.17 | 101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