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S vi, vim ^M 제거
2021.04.02 00:56
vi, vim ^M 제거
윈도우에서 작성한 파일을 Unix/Linux상에 올리면 개행 문자가 깨져서 ^M가 보이는 경우를 봤을 것이다.
이것은 윈도우에서는 CRLF 가 개행인데 Linux/Unix에서는 LF가 개행이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면 된다.
[CR,LF 뜻]
라인피드(LF : Line Feed) => 현재 위치에서 바로 아래로 이동
캐리지리턴(CR: Carriage return) => 커서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
설명은 이정도로 하고 제거 방법을 알아 보자
vi, vim에서 제거 하는 방법 |
결론부터 말하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.
:%s/^M//g |
위에서 ^M는 ^+M 이 아니고 Ctrl + v + m 이다.
vi에서 입력한 각 명령어에 대해 설명 하겠다.
: --> vi,vim에서 명령어를 입력 하겠다는 신호 :%s --> 문자열을 치환하겠다는 명령어 :%s/^M --> ^M 문자열을 치환하겠다 :%s/^M// --> ^M 문자열을 공백으로 치환하겠다. :%s/^M//g --> 해당 문서 전체 ^M 문자열을 공백으로 치환하겠다. |
윈도우에서 Unix/Linux로 파일 올릴때 ^M 안생기게 하는 방법 |
운영체제 마다 줄바꿈 정의가 다르다.
각 운영체제 마다 정의를 살펴 보자.
윈도우/DOS : CRLF 조합으로 줄바꿈을 정의 Unix/Linux/C : LF 만으로 줄바꿈을 정의 |
이래서 윈도우에서 작성 된 것을 Unix/Linux 계열로 올리면 vi로 편집했을 때 ^M이 붙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물론 ftp로 올릴 때 방식이 텍스트/2진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
텍스트 방식으로 올리면 데이터 변환이 생겨 /r/n -> /n 으로 된다.
2진 모드로 올릴때는 변환이 생기지 않아 윈도우에서 작성된 파일이 컴파일이 안되거나 script작성 된것이 동작 안할 수가 있다.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39 |
Jeus 8.5 + WebtoB 연동및 운영
![]() | 2023.10.24 | 330 |
38 |
Jeus 8.5 설치및 운영
![]() | 2023.10.24 | 461 |
37 |
Webtob Install for Windows and command
![]() | 2023.10.24 | 332 |
36 |
Webtob Install for Linux
![]() | 2023.10.23 | 414 |
35 |
HPUX Apache 2.4.53 다운로드 및 설치
![]() | 2022.07.20 | 170 |
34 |
qlogic qaucli command - HBA카드 온도체크
![]() | 2022.07.05 | 4594 |
33 | Red Hat Enterprise Linux technology capabilities and limits | 2021.05.13 | 149 |
» | vi, vim ^M 제거 | 2021.04.02 | 139 |
31 |
Jeus7 Getting Start Guide
![]() | 2021.03.09 | 187 |
30 | hp-ux glance Memory Sort | 2021.02.26 | 435 |
29 | 외부로 통신이 되지 않을 때 가지고 있는 CD-ROM으로 yum 사용하는 방법 | 2020.08.26 | 867 |
28 | AIX 내부적인 Memory 관리 방법 | 2020.04.15 | 767 |
27 | AIX SYSTEM CHECK SCRIPT | 2020.04.10 | 2555 |
26 | top을 통해 살펴보는 프로세스 정보들 | 2020.03.05 | 641 |
25 | netstat | 2020.02.05 | 478 |
24 | Linux Cache Memory Clear | 2020.01.20 | 468 |
23 | ThreadDump 분석 | 2020.01.02 | 305 |
22 | Apache나, Tomcat 버젼 노출 취약점 | 2019.12.09 | 1204 |
21 | NetBackup Port Open | 2019.11.22 | 1127 |
20 | CSQL 인터프리터 사용방법 | 2019.11.04 | 521 |